ppomya 님의 블로그

ppomya 님의 디지털 유산 상속 정보 공유 블로그 입니다.

  • 2025. 10. 2.

    by. ppomya

    목차

      상속 자산 도난 방지를 위한 다중 서명 기법

      1. 왜 상속 자산에 다중 서명이 필요한가?

      디지털 자산은 법적으로 상속 대상에 포함되지만, 현실적으로는 프라이빗 키를 누가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가장 큰 문제입니다. 단일 키로만 관리되는 코인·NFT 지갑은 키가 유출되면 순식간에 도난당할 수 있고, 반대로 키를 잃어버리면 상속인도 접근할 수 없습니다. 이런 위험을 줄이기 위한 기술적 해법이 바로 다중 서명(Multi-Signature, 멀티시그) 기법입니다.


      2. 다중 서명 지갑의 개념

      멀티시그 지갑은 거래 승인 시 여러 개의 키(서명)가 동시에 필요한 구조를 갖습니다.

      • 2-of-3 구조: 3개의 키 중 2개 이상이 있어야 거래 승인 가능
      • 3-of-5 구조: 5개 중 3개 이상의 서명이 필요

      즉, 하나의 키를 도난당해도 다른 키가 없으면 자산을 옮길 수 없으므로 보안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3. 상속에 적용되는 다중 서명 구조

      🔹 1) 가족 분산 보관

      피상속인은 키를 상속인 여러 명에게 나누어 보관하게 하고, 상속이 개시되면 다수 동의로 자산을 인출하도록 설계합니다.

      • 장점: 특정 상속인이 단독으로 자산을 탈취할 수 없음
      • 단점: 상속인 간 협력이 필수

      🔹 2) 전문가·신탁 기관 참여

      2-of-3 구조에서 상속인과 변호사·신탁기관이 각각 키를 보유하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법적 절차가 충족되어야만 상속 가능
      • 단점: 제삼자에 대한 신뢰가 전제되어야 함

      🔹 3) 유언장·스마트컨트랙트 연동

      스마트컨트랙트로 다중 서명을 설계해, 유언장이 검증되면 자동으로 상속인에게 키 권한이 부여되는 구조도 가능합니다.

      • 장점: 자동화와 법적 근거가 결합
      • 단점: 제도·법률 미비로 실제 적용이 제한적

      4. 다중 서명의 장점

      1. 도난 방지: 해커가 단일 키를 획득해도 자산을 이동 불가
      2. 분쟁 예방: 상속인이 다수일 경우 합의 없이는 자산 이동 불가 → 단독 도용 차단
      3. 법적 안전성: 변호사·공증인 참여 구조로 투명성 확보
      4. 사고 대응: 일부 키 분실 시에도 나머지 키로 복구 가능(예: 2-of-3 구조)

      5. 다중 서명의 단점과 주의점

      1. 절차 복잡성: 키 분배·보관 과정이 복잡하고, 상속인이 기술 이해가 부족하면 사용 어려움
      2. 상속 지연 가능성: 일부 상속인이 협조하지 않으면 자산 이전이 늦어짐
      3. 법적 불확실성: 국내 상속법과 멀티시그 구조가 아직 완전히 연계되지 않아 분쟁 소지가 존재
      4. 키 분실 리스크: 필요한 수 이상 키가 유실되면 자산 접근 불가

      6. 실무 활용 전략

      • 2-of-3 모델: 피상속인, 상속인 대표, 법률 전문가가 각각 키를 보관 → 균형 잡힌 보안
      • 클라우드+오프라인 병행: 일부 키는 암호화 클라우드에, 일부는 금고·하드웨어 월렛에 보관
      • 정기 점검: 상속 계획과 키 보관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해 최신화
      • 법적 문서 연계: 유언장이나 신탁 계약에 멀티시그 구조를 명시해 분쟁 예방

      7. 결론: 상속 자산, 다중 서명으로 안전하게

      디지털 자산 상속은 법적 권리뿐 아니라 기술적 보안이 함께 보장되어야 합니다. 멀티시그 기법은 단독 키 분실·도난 문제를 해결하고, 상속 과정에서 투명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다만, 제도적 미비와 복잡성을 고려해야 하므로 법률 전문가와 기술 전문가의 협업을 통해 맞춤형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