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omya 님의 블로그

ppomya 님의 디지털 유산 상속 정보 공유 블로그 입니다.

  • 2025. 9. 16.

    by. ppomya

    목차

      디지털 자산 상속세, 시가 산정 기준은?

      1. 디지털 자산, 상속세 과세 대상일까?

      비트코인·이더리움 같은 암호화폐와 NFT는 단순한 디지털 기록이 아니라 경제적 가치를 가진 재산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국세청은 이미 가상자산을 상속세 과세 대상에 포함하고 있으며, 상속 개시 시점에 보유 중인 모든 디지털 자산을 상속재산 목록에 기재해야 합니다. 따라서 상속인이 디지털 자산을 정확히 신고하려면 시가 산정 기준을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


      2. 디지털 자산 시가 산정의 법적 원칙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증법)에 따르면 상속재산은 상속 개시일(사망일)을 기준으로 한 시가를 원칙으로 합니다.

      • 상속 개시일: 피상속인이 사망한 날
      • 평가 기간: 상속 개시일 전후 2개월, 총 4개월
      • 시가의 의미: 불특정 다수 사이에서 정상적으로 거래되는 객관적 교환가치

      즉, 단 하루의 시세가 아니라 사망일을 기준으로 전후 2개월 동안 형성된 평균 시세를 활용해야 합니다.


      3. 암호화폐 상속 시가 산정 기준

      암호화폐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평균 시세 기준이 매우 중요합니다. 국세청은 일반적으로 다음 기준을 적용합니다.

      1. 국내 거래소 기준가: 업비트, 빗썸, 코빗 등 주요 거래소의 시세를 활용
      2. 평균 산정: 상속 개시일 전후 2개월(총 4개월) 동안의 일별 시세 평균
      3. 원화 환산: 해외 거래소에서 보관 중인 자산도 원/달러 환율을 적용해 원화 기준으로 환산

      예를 들어, 피상속인이 2025년 3월 1일에 사망했다면, 2025년 1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4개월간의 평균 시세를 반영해 평가액을 산정합니다.


      4. NFT 상속 시가 산정 기준

      NFT는 코인보다 평가가 까다롭습니다. 거래 빈도가 적고 희소성이 가치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 최근 거래 가격: 해당 NFT의 직전 거래가가 가장 명확한 기준
      • 동일 컬렉션 시세: 거래 이력이 부족하면 동일 컬렉션 내 유사 NFT 평균가를 참고
      • 전문 감정: 거래 이력이 전혀 없는 NFT는 감정평가를 통해 가치 산정 가능

      법원이나 세무 당국은 객관적 자료에 기반한 평가 방식을 요구하므로, 단순한 개인 추정 가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5. 상속세 신고 시 유의해야 할 점

      1. 자산 누락 금지
        • 개인 지갑(콜드월렛·핫월렛) 자산도 모두 신고해야 하며, 누락 시 가산세 부과 가능.
      2. 평가액 과소 산정 주의
        • 시가보다 낮은 금액으로 임의 신고 시 추후 세무조사에서 추징세 발생.
      3. 해외 자산 신고
        • 해외 거래소 보관 자산도 반드시 포함해야 하며, 환율 적용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함.
      4. 상속세 납부 방식
        • 세금 규모가 크다면 분납(최대 6개월) 또는 연부연납(최대 5년) 제도를 활용 가능.

      6. 분쟁과 리스크 예방 전략

      디지털 자산 상속세 신고 과정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상속인 간 시가 산정 이견: 코인·NFT의 평가액을 두고 갈등 발생 → 객관적 자료 제출 필요
      • 세무당국과의 가치 다툼: 평가 방식이 불명확할 경우 국세청이 재산 재평가를 요구할 수 있음
      • 가산세 부담: 신고 지연, 누락 시 10~40%의 가산세가 붙을 수 있음

      따라서 상속인은 세무사·변호사 등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신고 과정을 투명하게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7. 마무리: 디지털 자산 상속세, 시가 기준 이해가 핵심

      코인과 NFT는 상속세 과세 대상이며, 그 가치는 상속 개시일 전후 4개월간의 평균 시세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암호화폐는 거래소 시세를, NFT는 최근 거래가·동일 컬렉션 시세·감정평가를 활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결국, 디지털 자산 상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시가 산정과 누락 없는 신고입니다. 이를 통해 상속인은 가산세와 분쟁을 예방하고, 합법적이고 안정적인 상속 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