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해외 거래소 이용과 상속의 복잡성
국내 투자자 중 상당수는 바이낸스(Binance), 코인베이스(Coinbase), 크라켄(Kraken), OKX 등 글로벌 거래소를 이용합니다.
이유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상장 코인의 다양성 – 국내 미상장 유망 코인을 빠르게 매수 가능
- 거래 수수료 경쟁력 – 대규모 거래 시 수수료 절감 효과
- 높은 유동성 – 대량 매매 시 시장 가격 변동 최소화
하지만 상속 시점이 되면 상황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해외 거래소는 거래소 소재 국가의 법률과 **국제 자금세탁방지 규정(AML)**을 동시에 적용받기 때문에, 절차가 국내보다 훨씬 복잡합니다.
그 핵심이 바로 **KYC(Know Your Customer, 고객신원확인)**입니다.
2. 상속에서 KYC가 ‘첫 관문’인 이유
해외 거래소는 국제 규제에 따라 계정 소유자의 신원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계정을 만들 때 여권 사본, 거주지 증명서, 얼굴 인식 인증 등을 제출해 KYC를 완료합니다.상속 절차에서 거래소는 반드시 다음을 확인합니다.
- 사망자의 KYC 기록이 존재하는지
- 사망자 계정이 거래소에 등록된 신분증과 동일인인지
- 상속인의 신원과 상속 권리(가족관계증명서 등)
📌 KYC 미완료 계정 = 상속 불가 계정
사망자가 KYC를 끝내지 않은 상태라면, 거래소는 법적으로 해당 자산 이전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해외 거래소 상속 절차 상세 가이드
① 거래소 접촉 전 사전 준비
- 사망증명서(Death Certificate) 원본
-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상속관계증명서
- 상속인 신분증(여권, 주민등록증)
- 사망자의 KYC 등록 서류 사본(여권, 주소 증명서)
② 거래소 공식 채널로 상속 절차 개시
- 고객센터(Contact Us) 또는 상속 전담 이메일로 요청
- 일부 거래소는 상속 절차용 전용 양식을 제공
③ KYC 기록·서류 검토
- 사망자의 KYC 자료와 제출 서류 대조
- 사망 당시 계정에 설정된 2FA(OTP/SMS) 복구 절차 진행
④ 해당 국가 법률 준수 검증
- 미국, 일본, 싱가포르 등 거래소 소재 국가의 상속 관련 법률 검토
- 필요시 법원 명령서(Probate Order) 제출
⑤ 자산 이전 또는 현금화 송금
- 일부 거래소: 상속인 계정으로 코인 직접 이체
- 일부 거래소: 현금화 후 상속인 은행 계좌로 송금
4. 상속 절차를 막는 주요 장애물
- 사망자 계정의 KYC 미완료
- 이메일·비밀번호만 있는 계정은 법적 검증 불가
- 거래소는 상속 절차를 거부할 권리 보유
- 2FA(이중 인증) 복구 불가
- OTP 앱·SMS 인증 필수인데, 사망자 휴대폰 해지 시 복구 코드 필요
- 복구 코드 미보관 시 로그인 불가
- 국가 간 법률 차이
- 예: 일본 거래소는 ‘상속인 대표 1명 지정’이 필수
- 미국 거래소는 ‘Probate Court’ 명령서 필요
- 서류 번역·공증·아포스티유 절차
- 모든 서류를 영문 번역 및 공증 후, 국제 인증(Apostille) 받아야 인정
5. KYC와 상속을 위한 사전 대비 전략
① KYC 100% 완료
- 해외 거래소 모든 계정의 KYC를 여권·주소증명서로 완료
- 계정 이메일·휴대폰번호 최신 유지
② KYC 정보 오프라인 보관
- 거래소명, 가입 이메일, KYC 제출 서류 사본을 암호화 USB 또는 금고에 보관
- 클라우드·이메일 저장 금지
③ 2FA 복구 코드 백업
- OTP 앱에서 발급하는 복구 코드를 종이에 인쇄 후 금고 보관
- 예비 휴대폰 번호 등록
④ 상속 문서에 거래소 자산 명시
- 유언장에 거래소명, 계정 정보, 상속 절차 지침 포함
- 변호사·신탁기관과 사전 협의
6. 실제 해외 거래소 상속 실패 사례
📍 사례 1 – KYC 미완료로 전액 동결
A 씨는 바이낸스에 20 BTC를 보유했지만, 신원 인증을 끝내지 않은 상태로 사망.
거래소는 AML 규정에 따라 상속 절차 거부.📍 사례 2 – OTP 문제로 계정 접근 불가
B 씨는 코인베이스에 상당한 자산을 보유했으나, OTP 인증이 사망자 휴대폰 번호에 연결됨.
복구 코드가 없어 상속인 로그인 불가.
7. 상속 대비 종합 체크리스트
- 모든 해외 거래소 계정 KYC 완료
- KYC 서류 오프라인 백업
- 2FA 복구 코드 안전 보관
- 상속 문서에 거래소 자산 명시
- 서류 번역·공증 절차 사전 준비
8. 국내 거래소 상속과의 차이점
- 국내 거래소: 가족관계증명서·사망증명서로 비교적 간단히 상속 가능
- 해외 거래소: KYC 기록·해외 법률·국제 인증 절차 필수
- 처리 기간: 국내 12개월, 해외 36개월 이상 소요 가능
결론: KYC는 해외 거래소 상속의 ‘첫 열쇠’다
해외 거래소 자산 상속은 기술적·법률적·국제적 절차가 얽혀 있어 국내보다 훨씬 까다롭습니다.
그 모든 절차의 시작점이 사망자의 KYC 기록입니다.- KYC가 미완료된 계정은 법적으로 상속 불가
- 2FA 복구 코드를 잃으면 기술적으로 접근 불가
- 국가 간 법률 차이로 서류·공증 절차가 길어질 수 있음
따라서 해외 거래소를 이용하는 투자자는
- 지금 당장 KYC를 완료하고,
- KYC 서류·2FA 복구 코드를 안전하게 보관하며,
- 유언장에 거래소 자산과 절차를 명시해야 합니다.
이 준비가 되어 있다면, 상속인은 국가·거래소의 장벽을 넘어 안전하게 자산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KYC는 단순한 가입 절차가 아니라, 미래의 상속을 여는 유일한 관문입니다.'디지털유산상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자산 공동 투자, 사망 시 상속 분배 방법은? (0) 2025.08.10 프라이빗 키 유출 없이 안전하게 상속 준비하는 법 (0) 2025.08.10 NFT 부동산, 상속과 등기 문제의 접점은? (0) 2025.08.08 디지털 자산 상속 시 추천하는 콜드월렛 설정법 (0) 2025.08.08 디지털 상속 플랫폼, 어디까지 믿을 수 있을까? (0) 2025.08.07